LBRY Block Explorer

LBRY Claims • 의사의-듣기와-말하기,-3

4fe1e28689ed609b3c845329c193059ee3429e25

Published By
Created On
19 Sep 2022 19:29:29 UTC
Transaction ID
Cost
Safe for Work
Free
Yes
의사의 듣기와 말하기, 정숙향, 임소라, 신체검진, 환자배려, 자세, 복부, 시진, 촉진, 타진, 방포,진찰, 낙인효과, 환자중심진료, 임산부, 소통, 라포, 첫인상, 낙인효과
서문, 의사의 듣기와 말하기는 왜 중요한가?
의사가 진료상담 기술을 향상해야 하는 이유
환자는 왜 개운치 않은 표정으로 진료실을 나갔을까?

Chapter 1. 의사의 듣기와 말하기 원칙
지지적 의사소통 방법
경청, 가장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1)
경청, 가장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2)
몸짓언어와 목소리 활용하기
환자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비언어적 행동들
의사의 말 습관과 환자 호칭법
질병의 낙인효과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대화하기

Chapter 2. 일반적 진료 상황에서 듣고 말하기
환자에게 좋은 첫인상을 주는 말과 행동
신체 검진을 하며 환자를 배려하는 법
검사 처방을 할 때 환자 납득시키기
검사 결과를 설명하는 법
환자 행동을 변화시키는 의사의 의학적 조언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도구들
진료상담에서 마무리가 중요한 이유

Chapter 3. 입원 및 기타 상황에서 듣고 말하기
회진 시 입원 환자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의사의 말
환자중심 진료에서 의사의 사려 깊은 개입이 주는 효과
진단이 어렵거나 예상치 않게 나쁜 임상 경과를 보일 때
의료진 간 의사소통의 실패 사례(1)
의료진 간 의사소통의 실패 사례(2)
진료 중 일어나는 실수에 대처하는 법

Chapter 4. 특수한 상황에서 듣고 말하기
임산부와 의사소통하기
소아 및 청소년 환자와 의사소통하기
노인 환자와 의사소통하기
응급 환자와 의사소통하기
수술 전 마취 단계에서 의사소통하기
진료 절차가 복잡한 진료과에서 의사소통하기
나쁜 소식을 전하는 상황일 때
젊은 말기 암 환자와 의사소통하기
‘근거 있는 희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말하기
알코올의존증 환자와 면담하기
변모하는 진료 상황에서 고려할 점들
연명 치료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일 때

Chapter 5.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와 소통하기
화가 난 상태의 환자 대처하기
좋은 의사-환자 관계 형성이 어려울 때
의사의 감정 표현과 자기 관리

에필로그
당신은 잊을 수 없는 의료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까?
최고의 의사이신 나의 스승님에 대하여

참고문헌
책 속으로
의사가 환자와 좋은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차적으로 의사에 대한 환자의 높은 신뢰는 진료를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이끌어준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의사를 신뢰하고 자신의 병을 이해하게 된 환자는 그 의사가 처방해준 약을 제때 복용하고, 어려운 치료도 잘 견뎌내어 결국 치료 성공률이 높아지게 된다.
-27쪽

환자의 말을 잘 듣는 것도 중요하지만, 환자에게 당신의 말을 잘 알아들었다는 믿음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 즉 사례 2와 같은 증상 호소를 들은 후 이렇게 말해줄 수도 있다. “그러니까 환자분은 밤에 자꾸 소변을 보고 싶은 게 문제군요. 또 소변을 보려고 하면 시큰거리는 증상이 있고, 소변을 보고 싶어도 빨리 나오지 않는 것도 불편하시고요. 그동안 고생 많으셨겠네요.” 이처럼 환자가 말한 내용을 요약해 확인하거나, 환자의 불편에 공감을 표현하는 말을 해주었다면 어땠을까?
-52~53쪽

의사가 신체 검진에 앞서 준비해야 할 것은 환자에 대한 배려심과 관심이다. 환자를 당황스럽게 해서는 안 되며, 옷이나 방포 등으로 환자의 예민한 부위를 가려주고, 진찰하는 중에 환자가 불편하지는 않는지 살펴야 한다. 의사의 손이 너무 찰 때는 핫팩 등으로 미리 손을 따뜻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손이 조금 찬데 놀라지 않으셨으면 좋겠다는 양해를 구할 수도 있다. 검진하면서 환자와 가볍게 대화를 이어가도 좋지만 끊임없이 말해야 할 필요는 없다.
-83~84쪽

환자의 의학적 상태가 복잡하거나, 처음으로 큰 병을 진단받아서 힘들어할 때는 환자의 병상 옆에 의사가 앉아서 설명을 해주면 아주 좋다. 특히 의사가 침대 옆 의자에 앉아 물리적으로 눈높이를 맞추면서 설명을 해주면, 실제로 설명에 소요된 시간은 그리 길지 않더라도 환자는 훨씬 긴 시간을 대화했다고 느낀다.
-117~118쪽

내가 경험이 부족했던 젊은 날에는 의학적 진실을 그대로 알려주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희망이라는 요소가 환자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내게서 희망을 보지 못해 민간 처방이나 근거 없는 치료법으로 돈과 시간을 낭비하면서 나를 떠났던 환자들도 많았다. 나쁜 예후가 예상되었더라도 좀 더 환자에게 인격적인 관심을 가지고, 작든 크든 희망적인 근거를 열심히 모아 그 희망을 환자에서 들려주었더라면 좋았을 거라는 후회와 반성을 한다.
-190~191쪽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그가 누구든 환자의 경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당신이 의사라면 환자에게는 더더욱 강력한 경험이 된다. 선택은 당신에게 달려 있다. 당신의 환자에게 잊지 못할 감동의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 아니면 두고두고 잊지 못할 서러운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 당신이 무심코 했던 말과 행동이 그것을 결정하기도 한다.
-234쪽 닫기
출판사 서평
치유적 환자경험을 위한
의사의 진료상담 방법은 무엇인가?

환자는 질병을 몸으로 겪고, 의사는 지식으로 경험한다. 환자와 의사의 만남은 공동의 ‘적’인 질병을 극복함과 동시에 치유로 나아가는 관계로 발전해야 한다. 그렇다면 의사-환자 만남에서 성취해야 할 목적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는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환자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가 잘 이루어지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적은 교육과 실습, 시험 등을 통해 그 기술을 익힐 수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목적인 ‘의사-환자 관계 형성’ 기술은 상대적�
...
https://www.youtube.com/watch?v=sO0STcj2DyY
Author
Content Type
Unspecified
video/mp4
Language
Open in LBRY

More from the publisher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10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
Controlling
VIDEO